(위 사진은 칼로덤 시술을 4회한 이후에도 환부가 유합되지 않아서 피부이식수술을 해야한다는 소견을 듣고, 피부이식수술을 원치 않아 자연재생한의원에 내원하여 치료했을 당시의 내원사진입니다.
아래의 사진들은 한의원에서 치료하여 환부가 유합되어가는 치료경과 사진들입니다.)
네. 잘 나을 수 있습니다.
가급적 수술(시술)이전에 오셔야 더 잘 나을 수 있습니다.
자신있게 말씀드립니다.
화상을 막 입고 한의원에 내원하는 경우는
별로 없습니다.
지인이나 한의원에서 치료받았던
환자의 소개가 아닌 경우에는
양방에서 치료 도중에
피부이식수술을 해야한다는 소견을 듣고
1-2주후에 내원하시는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한의원에는 보통 언제 올까요? 병원치료 도중에 내원하는 경우에 대해 알아보면
1. 양방병원에서 1-2주 보존적 치료를 하다가 내원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존적 치료란 일반적으로 생리식염수로 환부를 세척한 이후에 항생연고(실마진등 크림타입의 항생연고)를 환부에 도포하고 메디폼이나, 듀오덤등의 습윤밴드를 붙이는 것입니다.
이 과정을 1-2일에 한번씩 반복합니다.
2주안에 회복되는 가벼운 화상의 경우에 환부가 유합되고, 색조변화나 흉터에 대해 치료를 원하시는 경우에 오십니다.
-->이렇게 유합되는 화상은 한의원 치료를 하더라도 10일 전후로 흉터 없이 치료됩니다.
가벼운 화상은 사실 한의원에 오지 않습니다만, 가끔 한의원에서 치료받았던 환자분 소개로 초기에 내원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7-15일정도로 모두 유합되며 깨끗이 낫게 됩니다.
이때에 오시는 환자들은 환부가 모두 유합되었기 때문에 별도의 처치없이, 가지고 있는 보습제를 바르게 하고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도록 합니다.
2. 1-2주가 경과해도 유합되지 않는 경우입니다.
1-2간 보존적 치료를 하였더라도 화상이 진행되어 더 깊어지거나, 가피가 녹아나지 않아서 가피를 제거하는 시술을 앞두고서 오거나
혹은 칼로덤 시술등 드레싱제를 이용하여 치료하였는데 환부가 유합되지 않아서 피부이식수술을 진행해야한다고 할 때 내원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최근에는 화상을 입은 이후 바로 1-2일후에 칼로덤 시술을 진행하거나 피부이식수술을 진행하기도 합니다.
보통은 이 시기에 가장 많은 환자가 문의하러 오십니다.
-->칼로덤 시술이나 피부이식수술 이전에 오시는 경우에는 환부가 깊더라도 수술 없이 치료가 가능합니다. 가장 많이 내원하는 경우로 치료기간은 환부의 깊이에 따라 달라집니다.
3. 2-3주동안 칼로덤 시술, 세포배양치료, 사체피부이식수술등 비수술적 방법으로 치료하였으나 유합이 되지 않는 경우에 최종적으로 자가피부이식을 해야 하는데 이 시기에 앞두고 내원하는 경우입니다.
보통은 3주가 되기 전에 수술을 권유하였으나, 보호자나 환자의 거부로 최대한 보존적 조치를 취했음에도 환부가 유합되지 않아서 최종적인 이식수술 통보를 받고 내원하는 경우입니다.
-->이 시기에 한의원에 내원하더라도 이식수술 없이 치료는 가능하지만, 가피절제술로 인해 정상피부가 상처를 입어서 환부가 유합될 때에 평평하지 못한 피부표면이 나타날 수도 있고
사체피부이식이나 칼로덤 시술의 결과로 피부가 과증식되어 추후에 비후성반흔(떡살)이 심하게 나타나기도 합니다.
다시 말해, 이 시기에 한의원 치료를 시작하면 수술없이 치료는 가능하나, 처음부터 한의원에서 치료하는 것보다는 흉터와 구축현상이 더 나타날 수 있습니다.
4. 환부 유합후 가려움, 비후성반흔, 관절구축, 통증등 화상후유증으로 내원한 경우입니다
-->환부유합 이후에 후유증을 줄이기 위해서는 훨씬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열심히 치료하더라도 흉터등을 없앨 수는 없으며, 현재 상태보다 조금 개선시킬 뿐입니다.
처음부터 화상을 잘 치료하는 것만이
화상후유증을 줄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결론:
칼로덤 시술이나, 피부이식수술을
하지 않더라도 잘 나을 수 있습니다.
초기부터 한의원에서 치료하면
예후는 더욱 좋습니다.
화상치료는 한의학이 우수합니다.